조선 국왕의 묘호 ‘조’와 ‘종’ 차이
‘태조’, ‘태종’, ‘세종’, ‘선조’와 같은 이름은 왕이 죽은 다음 그 공덕을 칭송하여 붙인 것으로, 이를 ‘묘호’(廟號)라고 한다. 본래는 나라를 세운 왕의 이름에는 ‘조’, 그 뒤를 이은 왕의 이름에는 ‘종’을 붙였다.
그런데 나중에는 나라를 세운 것에 버금가는 업적을 쌓은 왕에게도 나라를 잘 지켜나갔다는 뜻으로 ‘조’를 붙였다. 세조는 왕실의 위기를 넘기고 위엄을 확립하였다는 의미에서, 선조와 인조는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이라는 국가 위기를 극복하였다고, 영조와 정조는 개혁정치가 국가를 다시 세우는 것에 버금간다고 해서 ‘조’를 붙인 것이다.
따라서 ‘조’를 붙이느냐, ‘종’을 붙이느냐는 왕이 죽고 난 다음의 평가에 따르게 된다. 이 때문에 ‘조’를 붙이는 것이 타당한가에 대한 논란이 일어난 경우도 종종 있었다. ‘영조’, ‘정조’, ‘순조’가 그러한 예였다.
이렇게 보면, ‘조’가 붙은 왕이 ‘종’이 붙은 왕보다 그 업적을 높게 평가받은 것으로 보여진다. 그러나 이것만으로 왕의 업적이나 성품이 평가되지는 않는다. 오늘날 사람들이 가장 훌륭한 왕으로 생각하는 ‘세종’의 경우, ‘종’이 붙었지만, 조선사회에서도 가장 정치를 잘 했으며, 뛰어난 업적을 남긴 왕으로 평가를 받았다.
한편 ‘연산군’이나 ‘광해군’ 같이 왕의 자리에서 쫓겨난 경우는 왕의 자손이라는 것만을 인정받아 ‘군(君)’이라는 이름이 붙여졌다. ‘군’이란 왕자를 가리키는 명칭이었다. 비운의 왕인 단종의 경우는 왕에서 쫓겨난 뒤 ‘노산군’으로 낮추어지고, 다시 서인이 되었다가, 200여년이 지난 숙종 때 단종으로 그 지위가 회복되었다.
왕의 이름에는 묘호 뒤에 시호도 덧붙여진다. 시호는 보통 왕이나 왕비, 재상, 학덕이 높은 선비들이 죽은 뒤 왕이 내려주는 이름을 가리킨다. 예컨대 이순신의 시호는 ‘충무공(忠武公)’으로, ‘무예로 충성을 다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조선 태종의 시호는 ‘공정(恭定)', 세종은 ‘장헌(莊憲)’이다. 그러므로 태종의 공식 명칭은 ‘태종공정대왕’, 세종은 ‘세종장헌대왕’이다. 태종은 국가 기강의 기틀을 잡았으며, 세종은 그 규범을 잘 지켰다고 평가를 받았던 것이다.
한국교원대 교수 |
'♣ 유익한 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만나면 독 되는 식품 베스트10 (0) | 2010.07.13 |
---|---|
KBS 스폰지에서 방송된 신기한 지식모음 (0) | 2010.06.29 |
교통위반 벌금.벌점 상세표 (0) | 2010.04.22 |
편리한 토막상식 (0) | 2010.04.22 |
심폐소생술 영상강의 (0) | 2010.04.16 |